* 윈도우에서 WLS2 설치와 내부 로컬에서 사용하기에는 편리하게 되어있지만
그렇게 사용할거라면....굳이 WSL를 설치할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네요.
WSL2 로 우분투를 올리고 해당 웹서버를 올리고 외부에서도 접속되게 하려고 했는데
막상 올리고 나니 외부에서 우분내 웹서버에 연결하려면 최소 2번의 포트 포워딩을 거쳐야 합니다.
외부 인터넷 -> 내부 공유기(point1) -> 윈도우(point2) -> WSL2 -> Nginx 또는 Apache
윈도우와 WSL2 사이에 포트 포워딩은
도커에서 컨테이너 로컬 환경 설정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
설정 방법은 윈도우 PowerShell 에서
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- 포트 포워딩
PS C:\Windows\system32> netsh interface portproxy add v4tov4 listenport=[로컬_윈도우] listenaddress=0.0.0.0 connectport=[WSL의 포트] connectaddress=[WSL의 IP]
-- 포트 포워딩 초기화
PS C:\Windows\system32> netsh interface portproxy reset
-- 설정한 포트 포워딩 정보 조회
PS C:\Windows\system32> netsh interface portproxy show all
'IT >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[모니터링] Prometheus Agent 설치에서 모니터링 설정까지 #step1 (0) | 2025.04.22 |
---|---|
[PHP][Composer] PHP 버전 혼용 사용시 composer 실행 이슈 (0) | 2024.06.27 |
[Linux] 버전 확인 (0) | 2024.06.21 |
[개발환경][Ubuntu 22.04 LTS][MariaDB-11.4.2] 구축 (0) | 2024.06.19 |
[Linux][Rsync] 형상 배포 경로 설정 (0) | 2024.06.19 |